치매 예방법
오늘 알아보려고 하는 것은 바로 치매 예방법 입니다. 그중에서 가장 우선시 해야 합니다. 고혈압, 고지혈 등의 질환이 악회되면서 뇌혈관이 막히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치매는 물론 알츠하이머병도 당.뇨.병 예방과 악화 방지가 중요합니다. Alzheimer 병이 있는 뇌에서 발견되는 베타아밀로이드가 당뇨병 환자에게선 췌장에서 확인됩니다. 그래서 제3형 당뇨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유전성이 강하기 때문에 특별한 대비책이 없다는게 좀 걸리네요. 다만 걸리기 쉬운 사람이 분명 있는반면 치매로부터 안전한 사람도 있다고 합니다.
치매 예방법
몸을 움직여주는 것은 뇌의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 일본에서는 매일 헬스와 일을 계속 하는 70대 노인들의 MRI를 찍었더니 새로운 신경세포가 생겨났고, 늙은 세포도 새로운 시냅스로 연결되며 뇌로 가는 혈류량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반면에 알츠하이머 라면 줄어든다고 하네요.
치매는 발병하기 2년 전부터 뇌 혈류량이 감소한다는 보고가 있었고, 알츠하이머는 발병 후부터 감소합니다. 이렇게 되면 말이 없어지고 의욕이 없어지는 등 우울증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리고 최근에는 운동이 뇌 신경망을 만드는 BDNF를 많이 형성해 지적 능력을 더욱 향상시킨다는 것도 찾았습니다.
우울증은 마치 감기처럼 가볍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중장년층에게 치매에 덜릴 확률이 더 높다고 합니다. 우울증은 파킨슨병 발병 확률과 치매로 발전할 수 있는 확률이 높은 질환이기 때문에 각별히 주의해야 하는 질병 중 하나입니다.
치매 초기증상중 반응속도가 느려지거나 미세한 근육제어에 이상을 보이면서 걷는 속도가 느려진다던지 익숙했던 행동들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에도 치매의 초기증상일수 있습니다. 또한 공격적인 행동이나 꼬집는 행동이 보인다면 치매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치매는 노화가 오면서 위험률이 증가하는 무서운 질환입니다. 특히 치매가 위험한 이유 중에 하나는 뇌세포는 신체 다른 세포와 다르게 손상되게 되면 다시 재생이되지 않기 때문인데요.
치매는 조기에 발견을하고 적절한 치료로 병의 악화속도를 늦추는 것이 가장 이상적 입니다.
다양한 수면장애가 생기게 되면 치매의 초기 증상을 의심해볼 수 있는데 갑자기 심하게 잠꼬대를 한다거나 수면시간이 짧아진다면 파킨슨병이나 알츠하이머 그리고 치매에 걸릴 위험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런 증상이 자주 나타나게 된다면 빠르게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치매는 아직까지 완치가 되는 치료법이 나오지 않았고 초기에 발견되었을시 진행을 늦추는 치료만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방하는 방법이 중요합니다. 우선 고혈압을 앓고 있는 경우에 치매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고혈압은 뇌의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혈류를 감소시켜서 치매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때문에 중년의 나이 때에 고혈압을 관리하는 것이 치매를 예방하는데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혈관을 깨끗이 관리하고 고혈압을 관리하는 것이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워서 외국어를 배운다거나 자격증을 취득하는 등의 적극적으로 두뇌를 사용하는 행동은 치매를 예방할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특히나 글을 읽고 쓰고를 하면서 창조성을 요구하는 뇌 활동을 하게 될 경우에는 치매를 늦추고 예방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됩니다. 때문에 노년기에 취침 전에 하루 일과들을 정리하고 매일 일기를 쓰는 습관들을 가지게 되면 치매를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일상 and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랭크 운동법 효과 (0) | 2022.04.22 |
---|---|
참기름 들기름 차이 및 보관법 (0) | 2022.04.22 |
일상생활에서 휴식이 부족하면 일어나는 현상 (0) | 2022.04.22 |
귀 건강에 좋지않은 행동 Top5 (0) | 2022.04.22 |
제육볶음 할 때 '이것' 넣으면 맛이 두배상승 합니다. (0) | 2022.04.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