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 and 정보

심근경색 초기증상 알아보세요!

by Happy_ssil 2022. 4. 22.

심근경색 초기증상 

 

오늘 알아볼 주제는 겨울철 꼭 조심해야하는 심근경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질환은 겨울철 유독 위험하고, 환자수도 매년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겨울철이나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교감신경계가 더 활성화되고 혈관의 이완 및 수축이 급격하게 진행되므로 심근경색발병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 주변에서 AED(자동심장충격기)를 볼 수 있는데요. 무심코 지나면서 봤던 이 의료기기가 언젠가는 나에게 꼭 필요한 것이 될 수도 있습니다.

 

보통 협심증은 심장혈관인 관상동맥이 좁아져서 가슴을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생기는 질환이며, 심근경색증은 심장의 혈관(관상동맥)이 막혀서 심장이 괴사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심근경색증은 심장마비라고도 많이들 부르는데요. 골든타임이 있기 때문에 발병했을때 바로 신속한 응급조치가 필요합니다

심장은 3개의 관상동맥이 혈관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아 전신으로 혈액을 내보내는 중요한 기관입니다. 사람들은 심장의 기능에 대해서 모르는게 대다수 입니다.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막혀 혈류가 멈추면 약 20분 후에는 심장에

 

산소가 부족해 심근 세포가 괴사하게 됩니다. 막힌 혈관을 6시간 이내에 회복시키지 않으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이란 파이프처럼 생긴 3개의 관상동맥은 어느 하나라도 막히는 경우 산소와 영양 공급이 줄어들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괴사되어 생기는 질환입니다. 관상동맥 혈관이 막히면 가슴통증이 시작되고, 혈압이 떨어지며, 심한 경우 심장마비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을 예방하기 위해 미리 식습관을 점검하고 개선하여 발병을 예방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인데요이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소식, 채식, 저염식 위주의 식이요법을 실천하고 일주일에 최소 3회 이상은 꾸준하게 운동을 실시해야 합니다. 또한 체중 관리, 스트레스 해소, 금연 및 절주를 지키는 습관도 중요합니다.

 

댓글